서블릿(2)
-
서블릿 컨테이너(Servlet Container) 요청 처리 과정
1) 사용자 요청이 들어오면 정적파일은 웹서버에서 처리한다. 동적파일이 필요한 경우 웹서버는 WAS 즉, 서블릿 컨테이너로 request를 보낸다. (Servlet Container or Web Container or WAS라고 한다) 2) 요청을 받은 Servlet Container는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두 객체를 생성한다. 그리고 배치 서술자인 web.xml 또는 어노테이션을 통해서 요청한 URL에 맞는 서블릿을 찾는다. (MVC패턴에서 서블릿은 Controller이다) 3) 요청된 서블릿이 이전에 요청된 적이 없다면 해당 서블릿 객체를 생성하고 해당 서블릿의 init() 메소드를 호출하고 메모리에 로드시킨다. 만약, 이전에 생성한 적이 있다면 객체..
2022.02.03 -
[JSP/Servlet 개념정리] JSTL/EL문 구동 방식
jsp의 구동방식은 jsp가 컴파일되면 jsp또한 java파일인 서블릿이 된다. JSP에서 스크립트릿()과 표현식()을 대신해서 JSTL과 EL문을 사용한다. MVC모델방식에서 controller가 view로 forward하게 되면 view페이지인 jsp에서는 controller에서 setAttribute를 통해 객체바인딩하여 보낸 값(model을 통해 처리된값)을 getAttribute를 통해 가져와서 클라이언트가 보기 좋게 배치한다. 위와 같은 방식을 JSTL과 EL문을 사용하면 더 간단히 처리할 수 있다. JSTL에서 var를 통해 변수를 생성하면 setAttribute으로 생성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출력하는 EL문인 ${}는 getAttribute로 불러오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이를 MVC모델에..
2021.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