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
-
[자바] Logging Framework & Logging Wrapper + SLF4J
배우고 이해한 내용을 정리하는 글로써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점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로깅(Logging)이란 시스템의 작동 정보인 로그(Log)를 기록하는 행위를 말한다. 시스템이 작동할 때 시스템의 작동 상태의 기록과 보존, 이용자의 습성 조사 및 시스템 동작의 분석 등을 하기 위해 작동 중의 각종 정보를 기록해둘 필요가 있는데, 이 기록을 만드는 것을 로깅이라 한다. 즉, 로그 시스템의 사용에 관계된 일련의 사건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기록하는 것이다. 실행한 프로그램의 이름, 콘솔로부터의 키인, 이상 사태 발생, 정지 상태, 컴퓨터의 사용 시간, 입출력 장치의 사용 개시와 사용 종료 시간 등을 기록하는 것으로 이렇게 해서 기록된 것을 로그라고 한다. 출처: 해시..
2022.01.07 -
깃허브(Github) 연동방법 및 깃(Git) 명령어 +.gitignore
# 깃허브 깃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유저네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유저이메일 —> user.name과 user.email이 기존에 존재할 경우 덮어쓰기가 됨 git config —list -> 깃설정 확인 mkdir 디렉토리이름 -> 디렉토리 생성 rmdir 디렉토리이름 -> 디렉토리 제거 git init -> git add -> git commit git init -> 사진사 고용(한 프로젝트 관리시 최초1회) git add -> 사진찍을 사람들 모임(사진을 찍을 떄마다) git add . ->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들 모여! git commit -> 모인 사람들을 사진으로 찍음(커밋을 모아봄) git commit -m “커밋메세지”..
2021.12.29 -
[자바] static과 static final
배우고 이해한 내용을 정리하는 글로써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점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ㅎ.ㅎ 우선 static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static 키워드가 사용된 전역변수나 메소드는 컴파일 과정 중에 정적으로 바인딩되어 static 메모리에 할당된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static메모리에 할당되어 있다가 프로그램이 종료시에 값이 제거된다. 이와 반대로 지역변수의 경우 메소드의 '{'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메모리에 할당되고 '}'를 만나서 메소드가 종료가 되면 지역변수의 값도 제거된다. 이처럼 static은 컴파일시에 생성되어서 종료시까지 계속 재사용할 수 있다. 스프링의 대표적인 개념인 싱글톤 패턴이 static 키워드를 통해 객체 관리가 되는 이유이다. ne..
2021.12.17 -
[이슈] 오픈소스 로깅 라이브러리 log4j 치명적 보안 취약점 발견돼..
"컴퓨터 사상 최악의 취약점 발견됐다".. 전세계 보안업계 '발칵' 거의 모든 인터넷 서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에 치명적 보안 취약점이 발견돼 전 세계 사이버 보안 업계가 발칵 뒤집혔다. 게임이나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하는 정보기술(IT) 기업 news.v.daum.net 거의 모든 인터넷 서버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에 치명적 보안 취약점이 발견돼 전 세계 사이버 보안 업계가 발칵 뒤집혔다. 게임이나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하는 정보기술(IT) 기업은 물론, 웹사이트 운영 회사, 심지어 정부 기관까지 이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고 있어 심각한 해킹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10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문제가 지적된 소프트웨어는 오픈소스 로깅 라이브러리 ‘로그4j(lo..
2021.12.13 -
[스프링] 싱글톤 방식의 주의점 - 스프링 빈은 항상 무상태(stateless)로 설계하자
스프링 싱글톤 방식으로 설계시 주의해야할 사항이 있다. 스프링 빈을 항상 무상태(Stateless)로 설계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스프링 빈으로 등록되는 클래스는 공유가 될 수 있는 전역 변수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싱글톤으로 빈 객체를 관리하는 스프링 컨테이너의 특성상 빈에 멤버변수를 두게 되는 경우 해당 멤버변수에 들어간 값이 다른 곳에서 상태를 유지(Stateful)한 채 재사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서로 다른 요청에 따라 스레드 별로 각자의 스택 메모리 영역을 차지한다 하더라도 스프링 컨테이너가 동작함에 따라 이미 힙 영역에 빈 객체가 로딩되어 공유되기 때문에 빈 객첼을 Stateful한 상태로 설계할 경우 서로 다른 요청임에도 불구하고 값이 꼬여버리는 경우가 발생..
2021.12.08 -
[컴퓨터 기초] 하드웨어 - 운영체제 - 소프트웨어란?
컴퓨터의 구성요소는 하드웨어(Hard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로 나눌수 있다. 하드웨어는 기계적 장치를 말하며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을 가리킨다. 우리가 사용하는 물리적인 컴퓨터를 하드웨어라 하고 그 안에 있는 운영체제나 각종 프로그램들을 소프트웨어라고 한다. 컴퓨터를 사용한 사람이라면 다들 알고 있듯이 컴퓨터는 하드웨어이고 그 안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이 소프트웨어이다. 하드웨어(Hardware) 컴퓨터의 모든 물리적 부품(장치)을 뜻한다. 입력, 연산, 제어, 기억, 출력 등 다섯 가지 기능을 구현하며 이를 위해 컴퓨터는 여러 가지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소프트웨어(Software)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게 동작 방법을 지시하는 명령어 집합의 모음이다.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
2021.12.08